[동유모,오유모] 일본 ATM 용어 설명 !!
동유모,오유모2016. 11. 3. 16:21
안녕하세요~ 일본 ATM 용어 완벽 정리!! 포스팅해봅니다 :D
페이스북, 밴드 동유모,오유모 회원분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분들도 자료 보시고 도움이 됬으면 좋겠네요~~ ^^
동유모 페이스북 바로가기 <<
https://www.facebook.com/groups/dongyumo/
동유모 밴드 바로가기 <<
오유모 페이스북 바로가기 <<
https://www.facebook.com/groups/oyumo/
오유모 밴드 바로가기 <<
お引き出し(おひきだし)- 현금 인출
残高照会(ざんだかしょうかい) - 잔액 조회
お預入れ(おあずけいれ)- 입금
お振込(おふりこみ)- 송금
お送金(おそうきん)- 송금
通帳記入(つうちょうきにゅう)-통장 정리
お振替(おふりかえ)-계좌 이체
クレジットカード - 신용카드
暗証番号変更(あんしょうばんごうへんこう)- 비밀번호 변경
税金 料金振込み(ぜいきん りょうきんふりこみ)-세금 요금 송금(=지불)
'동유모,오유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유모,오유모]일본유학 장학금 제도 (0) | 2016.11.06 |
---|---|
[동유모,오유모] 일본에서 인정해주는 전문사 칭호? (0) | 2016.11.04 |
[동유모,오유모] 일본 어학연수 평균 비용 (0) | 2016.11.01 |
[동유모,오유모] 일본 전문학교 선택시 고려해야할 사항들 (0) | 2016.10.31 |
[동유모,오유모] 일본 워킹 비자,단기 연수비자, 유학비자? (0) | 2016.10.28 |
[동유모] 일본에서 집구하기! 일본 부동산 용어 설명
동유모,오유모2016. 10. 27. 14:36
안녕하세요~ 동유모에서 일본 집을 구하시는 분들을 위해 좋은 자료를 준비해왔습니다 : D
페이스북, 밴드 동유모 회원분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분들도 자료 보시고 일본 생활에 참고 하세요~~ ^^
동유모 페이스북 바로가기 <<
https://www.facebook.com/groups/dongyumo/
동유모 밴드 바로가기 <<
부동산 용어
개인임대
부동산을 통해 월세로 집을 임대하는 형식입니다. 개인 임대는 기숙사 계약에 비해 비교적 초기에 계약금이 많이 들어갑니다.(사례금, 보증금, 수수료 등). 상기 금액 이외에도 연대보증인이 없을 경우에는 보증회사를 통해 연대보증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아파트(アパート)
목조 또는 철골 구조로 만들어진 2~3층의 저층 건물을 말합니다.맨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단열 효과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한국의 아파트와 일본의 아파트는 그 개념이 다릅니다.)
맨션(マンション)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3층 이상의 고층 건물을 의미합니다. 아파트에 비해 방음, 단열 효과, 내진 설계 등이 잘 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 아파트보다 임대료가 비쌉니다.
주택 내부 구조 표기
3LDK 3 -> 방의 갯수
L -> 거실(Living Room)
D -> 식당(Dining)
K -> 부엌(Kitchen)
시키킹(敷金)
일반적으로 보증금을 의미하며, 입주자가 임대료를 체납했거나 방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해 집주인에게 맡겨 두는 돈을 의미합니다. 이 돈은 원칙적으로 반환되지만, 집세 체납 및 입주자 부담으로 집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에는 여기서 차감된 금액이 반환됩니다.
레이킹(礼金)
집주인에게 주는 사례금을 의미하며, 보통 집세의1~2개월 분으로, 계약 종료 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요즘은 레이킹이 0엔인 건물도 많이 나오고 있답니다 :D
중개수수료(仲介手数料)
부동산 중개업자가 중개를 한 대가로 받는 보수를 의미합니다. 부동산 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임대료의 50~100%가 보통입니다.
상각(償却)
시키킹이나 보증금에 '상각(償却)' 이란 표시가 있으면 돌려받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화재보험(火災保険)
일본에서는 임대 계약을 할 때 반드시 화재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화재 보험비는 대략 2만 엔 정도이며 방 계약 기간과 같은 기간을 보험에 가입합니다.
열쇠 교환비(鍵交換費)
일본은 일반적으로 입주자가 바뀔 때마다 열쇠를 교환합니다. 대체적으로 입주자가 부담하는데, 그 금액은 1만~2만 엔 정도로 종류에 따라 금액이 다릅니다.
선불 임대료(前家賃)
집을 빌릴 때에는 선불이 원칙이므로 계약할 때 한 달치의 집세를 미리 지불합니다. 또한 월 중간에 입주한 경우에는 일별로 나눈 금액과 익원 분의 집세가 함께 청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계약 갱신료(更新料)
레이킹처럼 관동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관습의 하나로, 임대차 계약을 갱신할 때 집주인에게 지불하는 일시금으로, 집세의 1개월분이 일반적입니다.
관리비(管理費)
한국의 아파트 관리비와 같은 의미로, 공용 부분의 전기세, 수도세 등 기타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이며, 임대료에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동유모,오유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유모,오유모] 일본 어학연수 평균 비용 (0) | 2016.11.01 |
---|---|
[동유모,오유모] 일본 전문학교 선택시 고려해야할 사항들 (0) | 2016.10.31 |
[동유모,오유모] 일본 워킹 비자,단기 연수비자, 유학비자? (0) | 2016.10.28 |
[오유모] 일본어 기본어휘 800개 총 정리 (0) | 2016.10.25 |
[동유모] 드라마로 배우는 일본어 기초 단어 총 정리 - 1 (0) | 2016.10.24 |